목록분류 전체보기 (1968)
Zournal - zuke가 바라보는 세상.
[게임포럼] 모바일게임 산업 정책전환 필요출처전자신문 8/13 2003년만 해도 모바일 콘텐츠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모바일게임은 세계에서 한국이 가장 앞서 있었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금 한국은 어느새 모바일 게임 후진국이 되어 버렸다는 느낌이다. 2003년 6월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과 아이파크의 도움으로 한국의 모바일콘텐츠 업체들은 유럽 수출길에 올랐다. 그곳에서 만난 콘텐츠 업체, 이통사 담당자들은 한국 게임의 높은 완성도에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래픽, 속도, 장르 면에서 유럽에서는 상상도 하지 못할 게임들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그러나 1년후 지금 한국의 모바일 게임들은 세계인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고 있다. 2004년 3월의 게임개발자콘퍼런스(GDC)에서 유럽과 미국의 모바일 게임은 1년 만에 괄목..
아케이드게임 수출로 활로 뚫는다출처전자신문 8/13 성인용 중심의 사행성 게임에 밀려 도태돼온 아케이드게임이 수출로 활로 모색에 나섰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안다미로?넷돌?유니아나 등 아케이드게임 전문업체들은 콘솔과 더불어 거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북미?유럽?대만?동남아 등 해외 아케이드게임 시장 공략을 통해 제 2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최대 아케이드게임업체인 안다미로(대표 김용환)는 원소스 멀티플랫폼 게임을 지향한 1인칭 슈팅게임 ‘아크쉐이드’가 최근 국내보다 미국?대만?홍콩?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기 시작한 상황이다. 특히 미국 현지법인 안다미로USA를 통해 테스트차원에서 진행돼오던 프로젝트가 이번 달 본격적인 게임기 수출로 이어지는 성과를 거뒀..
엔씨소프트.웹젠 등 "중국서 게임 개발"출처한국경제 8/13 국내 온라인게임 개발사들이 중국 현지에 앞다퉈 온라인게임 연구개발(R&D)센 터를 설립한다. 이에 따라 세계 온라인게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업체들의 글로벌화 바람 이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12일 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 웹젠 한빛소프트 등 10여개 온라인게임 개발 사들이 연내에 중국에 개발 스튜디오(R&D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온라인게임 "뮤"로 중국 게임시장에서 선두권에 오른 웹젠은 오는 9,10월께 상하이에 R&D센터를 세운다.이와 관련,게임엔진 개발과 서버 운영 등을 담당할 핵심개발자 20여명을 파견하 고 현지 개발인력을 대폭 확충한다.한.중.대만 등 3개국 합작 온라인게임 개발에 착수한 한빛소프트도 10월께 상 하이에 게임 개발..
'원버튼 모바일게임'이 뜬다 ‘이제는 원버튼 게임이 모바일게임의 대세’ ‘언제 어디서든 가지고 다니며 즐긴다’는 특성을 갖고 있는 모바일게임, 그 중에서도 버튼 하나로 맘껏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원버튼 게임’이 각광받고 있다. 현란한 휴대폰 키 조절에 서투르더라도 누구든 한 방향 또는 그의 역방향 키만 조종할 수 있으면 게임을 ‘클리어’할 수 있어 초보자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원버튼 게임의 대표주자는 지난해 게임빌이 내놓아 지금까지 스테디셀러를 기록중인 게임 ‘놈’. 휴대폰을 돌려가며 즐기는 색다른 컨셉트와 함께, 버튼 하나로 게임내 모든 조작이 가능한 점이 유저들에게 크게 어필했다. 최근 5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원버튼 게임의 절대 아성을 쌓아가고 있는 ‘놈’은 올해 안에 100만 다운로드 돌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