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urnal - zuke가 바라보는 세상.

백종원 논란 타임라인 총정리: 빽햄, 감귤맥주, 방송 갑질까지 본문

◆ My StorY ◆/□ 사회 이야기

백종원 논란 타임라인 총정리: 빽햄, 감귤맥주, 방송 갑질까지

Editor.zuke 2025. 5. 24. 16:11
728x90
반응형
SMALL

백종원, 그는 누구인가?

백종원(白種元, 1966년 9월 4일생)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인이자 요리 연구가, 방송인입니다. 현재 (주)더본코리아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학교법인 예덕학원의 이사장이기도 합니다.

  • 사업가로서의 면모: 백종원 씨는 1993년 '원조쌈밥집'을 인수하며 요식업에 뛰어들었고, 1994년 더본코리아를 설립했습니다. 한신포차, 새마을식당, 홍콩반점0410, 빽다방 등 다수의 외식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론칭하며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의 거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재 20여 개가 넘는 브랜드를 운영하며 국내외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본인의 요리 비법과 경영 노하우를 공유하며 '유튜브 마케팅'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 방송인으로서의 면모: 2010년 SBS '진짜 한국의 맛'을 시작으로 방송 활동을 시작했으며, '마이 리틀 텔레비전', '집밥 백선생', '백종원의 3대 천왕', '백종원의 골목식당', '맛남의 광장',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 '백패커' 등 다수의 인기 요리 및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았습니다. 친근하고 솔직한 이미지, 탁월한 요리 실력과 경영 철학으로 '백주부'라는 별명과 함께 전 국민적인 사랑을 받았습니다.
  • 기타 활동: 예산군, 한우, 한돈 홍보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홍보대사로 활동했으며, 연세대학교 홍보대사를 역임하는 등 사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최근 논란 및 이슈 정리 (2025년 기준)

1. 빽햄 함량 논란

  • 더본코리아의 가공식품 '빽햄'이 광고된 돼지고기 함량보다 실제 함량이 낮다는 지적이 제기되었습니다.

2. 원산지 허위 표시

  • 일부 제품에서 베트남산 새우를 '국내산' 또는 '자연산'으로 표기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3. 감귤맥주 함량 논란

  • 감귤맥주 제품에서 감귤 함량이 광고보다 낮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4. 방송 갑질 의혹

  • 방송 제작 과정에서 제작진과 출연진에게 부당한 요구를 했다는 '방송 갑질'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5. 가맹점주 불만 및 집단 소송

  • 일부 가맹점주들이 본사의 운영 방식에 불만을 제기하며 집단 소송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슈 사항 정리 및 시간 순 이슈 정리

백종원 씨는 최근 더본코리아와 관련된 여러 논란에 휩싸이며 방송 활동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주요 이슈를 시간 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말 ~ 2024년 초:

  • 연돈볼카츠 가맹점주 관련 논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연돈볼카츠 가맹점주들에게 매출 및 수익률을 허위로 과장했다는 의혹으로 조사를 받았습니다. (연도 정확히 2023년으로 언급은 없으나, 2024년 4월 논란 기사에 "지난해"로 언급된 점으로 미루어 추정)
  • 더본코리아 상장 준비 중 불거진 문제점: 더본코리아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원산지 표기 오류, 제품 성분 및 가격 논란 등 여러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 임원 술자리 면접 논란: 기업 문화와 관련하여 임원 술자리 면접 논란이 불거지며 비판을 받았습니다.

2025년 2월 ~ 4월:

  • 자사품 품질 및 원산지 표기 오류: 일부 제품의 품질 문제와 원산지 표기 오류, 재료 방치 의혹 등이 제기되며 논란이 확산되었습니다. 특히, 국산 마늘을 사용했다고 표기된 낙지볶음 제품에 중국산 마늘이 사용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 만능 볶음요리 소스 논란: 백종원 만능 볶음요리 소스가 홍콩 브랜드인 이금기 팬더 소스를 희석해서 더 비싸게 파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 통조림 햄 제품 논란: 가격과 품질 논란이 불거졌던 통조림 햄 제품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 지역 축제 위생 논란: 지역 축제에서 직원이 농약 분무기로 사과 주스를 살포해 위생 논란이 일었습니다.
  • 불법 조리기구 사용 논란: ENA 예능 '백종원의 레미제라블'에서 식품 위생법 위반 소지가 있는 조리기구 사용 장면이 송출되어 방송통신위원회에 민원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2025년 5월 초 (방송 활동 중단 선언 시점):

  • 전직 PD의 '갑질' 폭로: 더본코리아 및 백종원 씨와 관련된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 전직 PD가 과거 백종원 씨의 '갑질'을 폭로하며 오너 리스크가 가중되었습니다.
  • 백종원의 사과 및 방송 활동 중단 선언 (5월 6일): 백종원 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과 보도자료를 통해 이 모든 논란에 대해 사과하며 현재 촬영 중인 작품을 제외한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고 기업 활동에만 전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가장 가슴 아픈 것은 가맹점주님들의 절박한 상황"이라며 긴급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점주들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더본코리아는 가맹점 로열티 3개월 면제 등의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3. 앞으로의 전망

백종원 씨의 방송 활동 중단은 그의 이미지와 더본코리아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적인 영향:

  • 방송 활동 제약: 현재 촬영 중인 프로그램 외에는 백종원 씨를 방송에서 보기 어려워질 것입니다. 이는 팬들에게 아쉬움을 주겠지만, 논란의 확산을 막고 본업에 집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더본코리아의 이미지 타격 및 주가 영향: 연이은 논란은 더본코리아의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상장된 주식의 가치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기업 내부 개선 노력 강화: 백종원 씨가 직접 논란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하겠다고 밝힌 만큼, 더본코리아 내부의 시스템 정비, 위생 관리 강화, 가맹점주와의 상생 방안 마련 등 전반적인 기업 체질 개선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상장 기업으로서 투명성과 책임감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질 것입니다.

장기적인 전망:

  • 기업인으로서의 역량 집중: 백종원 씨는 이번 기회를 통해 '방송인'보다는 '기업인'으로서 본업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더본코리아의 내실을 다지고, 더욱 견고한 기업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논란을 딛고 기업의 펀더멘털을 강화하는 데 집중한다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신뢰 회복 여부: 가장 중요한 것은 대중과 가맹점주, 주주들의 신뢰를 얼마나 빠르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회복하느냐입니다. 진정성 있는 사과와 함께 실질적인 개선 노력, 그리고 가시적인 성과가 뒷받침된다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금 긍정적인 이미지를 되찾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방송 복귀 가능성: 백종원 씨는 방송을 완전히 떠난 것이 아니며, 상황이 나아지면 복귀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만약 더본코리아의 경영 상황이 안정되고 대외적인 이미지도 성공적으로 회복된다면, 언젠가 방송에 복귀하여 대중과 다시 소통할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결론적으로, 백종원 씨는 이번 논란을 통해 기업인으로서의 책임감을 더욱 크게 느끼고 내부를 다지는 시간을 가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의 진정성 있는 노력과 더본코리아의 투명한 개선 과정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장기적으로는 더욱 단단한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https://youtu.be/NCkX4s80DDw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