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urnal - zuke가 바라보는 세상.

대한민국 소멸위험지수 최상위, 지방 3대 도시의 생존 전략 본문

◆ My StorY ◆/□ 사회 이야기

대한민국 소멸위험지수 최상위, 지방 3대 도시의 생존 전략

Editor.zuke 2025. 5. 23. 13:40
728x90
반응형
SMALL

✅ 지방 소멸 위기 현황

📉 소멸위험지역 기준

  • 한국고용정보원은 '소멸위험지수'를 기준으로 소멸위험지역을 분류
    • 소멸위험지수 = 20~39세 여성 인구 / 65세 이상 고령 인구
    • 이 수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됨
    • 2023년 기준: 전국 시군구의 **44.2%**가 소멸위험지역

📊 소멸위험지수  Top3

도시명 소멸위험지수 고령인구 비율 특징
상주시 0.164 36% 인구 10만 명 붕괴 이후 9만 명 초반대 유지, 출생아 수 감소와 사망자 수 증가로 인한 자연 감소 심화
문경시 0.179 34% 1970년대 16만 명에서 현재 6만 6천 명으로 감소, 청년층 유출 심각
밀양시 0.183 34.12% 인구 10만 명 유지 중이나 감소 추세 지속, 가임 여성 비율 6.45%로 낮음
 

🛠️ 각 도시의 대응 정책

상주시

  • 산업 구조 개편: 농업 중심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어 산업 다변화 추진
  • 청년 유입 촉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및 청년 농부 육성
  • 정주 여건 개선: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제공과 도심 재구조화 사업 추진뉴스핌

문경시

  • 관광 및 스포츠 산업 육성: 지역 특성을 살린 관광 자원 개발과 스포츠 시설 확충을 통해 인구 유입 시도
  • 청년 지원 확대: 청년 창업 지원과 주거 지원을 통해 정착 유도뉴스와치+1경남신문+1

밀양시

  • 교육 인프라 확충: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 개교 예정으로 교육 환경 개선
  • 산업 단지 조성: 나노융합산업 육성과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 청년 및 신혼부부 지원: 혼인 신고한 신혼부부에게 100만 원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경남신문다음+1땅집고+1

🔮 향후 전망 과 과제

전망

  • 단기적으로: 재정지원을 통한 인구 유입은 일시적 효과에 그칠 수 있음
  •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정주 여건 개선과 산업 기반 확보 없이는 인구 정착 어려움

과제

  1. 일자리 창출 중심의 정주 기반 마련 (스마트팜, 디지털 인프라 등)
  2. 교육·의료 인프라 강화를 통한 가족 유치
  3. 교통망 개선으로 수도권 접근성 향상
  4. 청년 맞춤형 도시 재생 (창업, 문화, 네트워킹 공간 확대)

이들 도시의 공통된 문제는 고령화와 청년층의 유출로 인한 인구 감소입니다. 각 지자체는 산업 구조 개편, 교육 및 주거 인프라 확충, 청년 지원 정책 등을 통해 인구 유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단기적인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인구 증가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정책 추진과 중앙정부의 지원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 결론

지방 소멸 위기는 단순한 인구문제를 넘어 지역의 경제, 문화, 공동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각 지방정부는 단발성 지원에서 벗어나 정주 매력과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향후엔 디지털 노마드 유치, 리모트 워크 기반의 생활도시 모델이 새로운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