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urnal - zuke가 바라보는 세상.
대한민국 소멸위험지수 최상위, 지방 3대 도시의 생존 전략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 지방 소멸 위기 현황
📉 소멸위험지역 기준
- 한국고용정보원은 '소멸위험지수'를 기준으로 소멸위험지역을 분류
- 소멸위험지수 = 20~39세 여성 인구 / 65세 이상 고령 인구
- 이 수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됨
- 2023년 기준: 전국 시군구의 **44.2%**가 소멸위험지역
📊 소멸위험지수 Top3
도시명 | 소멸위험지수 | 고령인구 비율 | 특징 |
상주시 | 0.164 | 36% | 인구 10만 명 붕괴 이후 9만 명 초반대 유지, 출생아 수 감소와 사망자 수 증가로 인한 자연 감소 심화 |
문경시 | 0.179 | 34% | 1970년대 16만 명에서 현재 6만 6천 명으로 감소, 청년층 유출 심각 |
밀양시 | 0.183 | 34.12% | 인구 10만 명 유지 중이나 감소 추세 지속, 가임 여성 비율 6.45%로 낮음 |
🛠️ 각 도시의 대응 정책
상주시
- 산업 구조 개편: 농업 중심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어 산업 다변화 추진
- 청년 유입 촉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및 청년 농부 육성
- 정주 여건 개선: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제공과 도심 재구조화 사업 추진뉴스핌
문경시
- 관광 및 스포츠 산업 육성: 지역 특성을 살린 관광 자원 개발과 스포츠 시설 확충을 통해 인구 유입 시도
- 청년 지원 확대: 청년 창업 지원과 주거 지원을 통해 정착 유도뉴스와치+1경남신문+1
밀양시
- 교육 인프라 확충: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 개교 예정으로 교육 환경 개선
- 산업 단지 조성: 나노융합산업 육성과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 청년 및 신혼부부 지원: 혼인 신고한 신혼부부에게 100만 원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경남신문다음+1땅집고+1
🔮 향후 전망 과 과제
전망
- 단기적으로: 재정지원을 통한 인구 유입은 일시적 효과에 그칠 수 있음
-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정주 여건 개선과 산업 기반 확보 없이는 인구 정착 어려움
과제
- 일자리 창출 중심의 정주 기반 마련 (스마트팜, 디지털 인프라 등)
- 교육·의료 인프라 강화를 통한 가족 유치
- 교통망 개선으로 수도권 접근성 향상
- 청년 맞춤형 도시 재생 (창업, 문화, 네트워킹 공간 확대)
이들 도시의 공통된 문제는 고령화와 청년층의 유출로 인한 인구 감소입니다. 각 지자체는 산업 구조 개편, 교육 및 주거 인프라 확충, 청년 지원 정책 등을 통해 인구 유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단기적인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인구 증가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정책 추진과 중앙정부의 지원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 결론
지방 소멸 위기는 단순한 인구문제를 넘어 지역의 경제, 문화, 공동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각 지방정부는 단발성 지원에서 벗어나 정주 매력과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향후엔 디지털 노마드 유치, 리모트 워크 기반의 생활도시 모델이 새로운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My StorY ◆ > □ 사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한미군 4,500명 감축 논란, 한미동맹의 운명은? (0) | 2025.05.24 |
---|---|
불꽃야구 2화 차단 사태, JTBC와 제작진의 갈등 배경 전격 분석 (2) | 2025.05.23 |
2030년, AI가 만든 약을 먹는다?! 신약 개발의 미래 (2) | 2025.05.22 |
대선 D-12, 이재명 vs 김문수… 지지율 격차 축소! 판세 뒤집힐까? (3) | 2025.05.22 |
선거벽보 훼손, 장난 아닌 중범죄! 당신도 모르게 처벌될 수 있다? (1)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