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urnal - zuke가 바라보는 세상.

SKT-엔씨소프트, 모바일게임 합작사 설립 추진 본문

스크랩

SKT-엔씨소프트, 모바일게임 합작사 설립 추진

Editor.zuke 2005. 5. 30. 22:09
반응형
SMALL
SKT-엔씨소프트, 모바일게임 합작사 설립 추진
출처전자신문 5/30

SK텔레콤과 엔씨소프트가 모바일게임 합작사 설립을 추진한다.


 29일 엔씨소프트 고위 관계자는 “SK텔레콤과 모바일 합작사 설립을 포함해서 기업 간 포괄적 제휴 협상을 진행중”이라며 “합작사의 연내 출범이라는 목표에는 어느 정도 합의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측 관계자도 엔씨소프트와의 모바일게임 합작사 설립 협상 사실을 부정하지 않았다. 합작사의 출자 규모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최강의 모바일서비스 플랫폼과 최고 게임 개발력의 수평적 결합이라는 점에서 향후 이동통신서비스 및 모바일 게임시장 양쪽에 메가톤급 파장이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합작사를 활용해 최근 선보인 모바일게임포털 ‘GXG’에 강력한 대용량 3D게임 라인업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게임·음악·영화라는 3대 모바일 엔테테인먼트 서비스 체계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인 것으로 알려졌다.

 엔씨소프트 측도 합작사가 기존 온라인게임 분야에서 구축해 놓은 시장 지배력을 모바일 영역으로까지 확대하는 발판이 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하반기 오픈 예정인 게임포털과 함께 SK텔레콤의 GXG를 연동하는 유무선 연동 게임서비스 채널 구상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게임업계 한 전문가는 “콘텐츠 플랫폼 간 유무선 연동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게임시장 최고의 콘텐츠 제공업체(CP)인 엔씨소프트와 이동통신시장 최고의 서비스 제공업체(SP)인 SK텔레콤이 손잡는 것만으로도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케 한다”고 말했다.


 권상희·이진호기자@전자신문, shkwon·jholee@etnews.co.kr


유무선통합 시장 '공룡'탄생하나

'공룡들끼리의 합작’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과 온라인게임 1위 업체인 엔씨소프트가 모바일게임 시장 장악을 위한 연합전선 구축에 나섰다. 이 결과는 1차적으로 연내에 모바일게임 합작사의 출범으로 구체화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이번 합작을 통해 자칫 KTF ‘지팡’의 선제 공격에 밀릴 수 있는 게임전용 포털 ‘GXG’의 콘텐츠를 최고 수준으로 보강하고, 음악·영화에 이은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라인업을 완비한다는 전략이다. 플랫폼과 콘텐츠 부문 최고들 간의 합작 법인이란 점에서 향후 모바일게임 시장은 기존 중소업체 주도의 시장 구조에서 막강한 자금력이 지배하는 구도로 급격히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무선 연동 본격화 대비 포석= 온라인게임에서 아성을 구축한 엔씨소프트는 모바일게임이란 새 성장 분야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시급했다. 그 파트너로서 SK텔레콤은 가장 이상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

SK텔레콤이 최대 가입자기반을 바탕으로 모바일게임 종가를 이루고 있는 데다, 최근 GXG를 내세워 3D게임 전용 포털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점도 매력적으로 작용했다.


 SK텔레콤도 지금까지 모바일게임 수급구조를 그대로 GXG에 적용해선 안되겠다는 상황 판단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엔씨소프트와 같이 개발력과 기존 게임을 통한 브랜드파워까지 두루 갖춘 회사를 GXG 파트너로 선점하는 효과도 내다보고 있는 것이다.


 어쨌든 온라인(유선)게임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엔씨소프트와 최강의 모바일(무선) 플랫폼을 보유한 SK텔레콤의 합작은 그 자체가 유무선 통합이라는 개념으로 정리될 수 있다.


 ◇모바일게임 시장 ‘빅뱅’=SK텔레콤·엔씨소프트 합작의 모바일게임사가 가시화되면 최근 넥슨계열로 편입된 엔텔리젼트와의 일전이 불가피하게 됐다.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이 본격적으로 초대형 업체들 간의 경쟁구도로 넘어가는 시점이 바로 이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업체 난립으로 인해 영세성을 면치 못했던 모바일게임 시장에도 급격한 구조조정 바람이 불어닥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특히 시장 선두권을 형성해 왔던 업체들도 지금까지는 통했을지 모르지만 앞으로는 시장에서 낙오될 수 있다는 위기감으로 안절부절못하고 있는 상태다.


 ◇타 대형포털도 위기감 팽배=KTF 게임포털 ‘지팡’과 손잡은 CJ인터넷 넷마블이나 무선망개방에 대비해 착실히 모바일 부문 역량을 강화해온 NHN 한게임도 커다란 충격을 받기는 마찬가지다.


 엔씨소프트가 올 하반기 오픈 예정인 게임포털도 변화의 중심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엔씨소프트가 막강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자체 게임포털과 GXG가 연계된 유무선 연동 전략을 본격화할 경우, 이들 경쟁포털의 상대적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SK텔레콤이 이들 포털과의 콘텐츠 및 서비스 연동을 제한하거나 엔씨소프트에 우선권을 부여할 경우 그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 이진호기자@전자신문, jholee@etnews.co.kr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