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21대 대선 3차 TV 토론 완전 정리: 후보별 발언과 쟁점 비교
    ◆ My StorY ◆/□ 사회 이야기 2025. 5. 28. 01:54
    728x90
    반응형

    2025년 5월 27일,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마지막 3차 TV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정치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권영국(민주노동당) 후보가 참여하였습니다. 토론에서는 개헌, 외교·안보 정책, 부정선거 의혹 등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졌습니다.


    🔹 토론 개요 및 주요 주제

    • 일시: 2025년 5월 27일
    • 주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 주요 주제:
      •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
      • 정치 개혁과 개헌
      • 외교·안보 정책
      • 부정선거 의혹

    🗣️ 후보별 주요 발언 및 입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 개헌: 4년 연임제 개헌을 제안하며, 정치 안정성과 책임 정치를 강조하였습니다.
    • 정치 양극화: "정치는 협의와 대화의 예술인데, 지금은 극단이 문제"라며 사회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 부정선거 의혹: "정치적 음모론은 민주주의를 위협한다"고 일축하였습니다.

    김문수 (국민의힘)

    • 개헌: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개헌을 제안하며, 권력 분산과 정치 개혁을 주장하였습니다.
    • 부정선거 의혹: "선거의 공정성은 철저히 검증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 이재명 후보 비판: "대장동 개발 의혹 등 이재명 후보의 사법 리스크는 심각하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 정치 개혁: 국회 해산권 도입과 같은 정치 개혁 방안을 제시하며, "40대 윤석열 보는 것 같다"는 발언으로 권영국 후보를 비판하였습니다.
    • 부정선거 의혹: "수사기관 욕하는 게 범죄자의 상투적 변명"이라며 이재명 후보를 비판하였습니다.
    • 단일화: "계엄세력과 단일화 없다…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독자 노선을 강조하였습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 정치 개혁: 노동자 권리 강화와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치 개혁을 주장하였습니다.
    • 외교·안보 정책: "기후위기 대응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강조하였습니다.
    • 토론 태도: 이준석 후보의 발언 중단에 대해 "매너가 없다"고 지적하였습니다.

    🔍 주요 쟁점 정리

    1. 개헌 논의

    • 이재명: 4년 연임제 개헌을 통해 정치 안정성과 책임 정치를 실현하자고 제안하였습니다.
    • 김문수: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개헌을 통해 권력 분산과 정치 개혁을 추진하자고 주장하였습니다.

    2. 부정선거 의혹

    • 김문수: 선거의 공정성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 이재명: 정치적 음모론은 민주주의를 위협한다고 일축하였습니다.

    3. 정치 양극화 해소

    • 이재명: 사회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치적 협의와 대화의 중요성을 언급하였습니다.
    • 이준석: 국회 해산권 도입 등 정치 개혁을 통해 양극화를 해소하자고 제안하였습니다.

    후보별 전략 및 평가

    • 이재명 후보: 지지율 1위인 만큼 안정적인 이미지와 준비된 대통령의 면모를 보여주려 노력했습니다. 상대 후보의 공세에 흔들리지 않고 정책 설명에 집중하며 '방어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 했습니다.
    • 김문수 후보: 적극적인 공세를 통해 이재명 후보의 약점을 파고들고, 자신의 도정 경험을 내세워 유능한 후보라는 점을 각인시키려 했습니다.
    • 이준석 후보: 날카로운 질문과 비판으로 상대 후보의 허점을 찔렀습니다. 단일화 없이 완주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며 '제3지대'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하려 했습니다.
    • 권영국 후보: 기득권 정치에 대한 비판과 소외된 계층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진정한 정치개혁'을 주장했습니다.

    이번 3차 토론회는 과거 대선 토론회처럼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유권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토론회가 유권자들의 정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후보 선택에 도움을 준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이번 토론회 또한 막판 표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토론회 시청 후 지지 후보를 바꾸는 경향도 나타나기에, 후보들의 발언 하나하나가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입니다.


    토론회 이슈 및 평가

    • 정책 검증보다는 네거티브와 비방이 많았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특히, 주제와 무관한 상호 비난이 이어져 유권자 입장에서는 실질적 정책 비교가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 각 후보는 막판 지지층 결집을 위해 공격적 전략을 택했으며, 이재명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밖 선두를 달리고 있다는 점도 토론 전략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유권자가 주목해야 할 점

    • 각 후보가 내세운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 개헌·정치개혁 구상, 외교·안보 정책의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을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추상적 구호보다는 실질적 정책과 실행 계획, 그리고 상대 후보에 대한 공세가 사실에 근거했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여론조사 및 향후 전망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가 45~46.6% 의 지지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김문수 후보는 32~37.6%, 이준석 후보는 10~10.4%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8일부터는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는 '깜깜이 기간'에 돌입하게 되어, 각 후보는 막판 지지층 결집을 위한 전략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토론 다시보기

    3차 대선 후보자 토론회는 아래 링크를 통해 다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0y-iwI6VVwQ

     

    728x90
    반응형
    LIST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