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urnal - zuke가 바라보는 세상.

파키스탄, 대규모 군사작전 개시… 작전명 '분니얀 울 마르수스' 본문

◆ My StorY ◆/□ 사회 이야기

파키스탄, 대규모 군사작전 개시… 작전명 '분니얀 울 마르수스'

Editor.zuke 2025. 5. 10. 10:16
반응형
SMALL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충돌이 거세지고 있는 듯 합니다. 

이 배경과 향후 시나리오를 정리했었는데요.

 

2025.05.07 - [◆ My StorY ◆/□ 사회 이야기] - 2025 인도-파키스탄 무력 충돌, 그 배경과 향후 시나리오

 

2025 인도-파키스탄 무력 충돌, 그 배경과 향후 시나리오

2025년 5월, 인도와 파키스탄이 6년 만에 다시 군사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국경 분쟁을 넘어, 핵 보유국 간의 긴장 고조로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의

zuke.tistory.com

 

이번엔 파키스탄이 대규모 군사작전을 개시하였습니다. 

작전명은 '분니얀 울 마르수스'(Bunyan ul Marsoos)로 이슬람 경전에서 인용했으며 '부서뜨릴수 없는 벽'이라는 뜻입니다. 

 

이에 관련 내용과 시간 순 으로 사건을 살펴보고 해외국가들의 반응도 살펴 보겠습니다.

 


 

🕰️ 사건의 배경과 시간순 정리

1. 2025년 4월 22일 – 카슈미르 관광객 테러

인도령 카슈미르의 파할감(Pahalgam) 지역에서 무장 괴한의 공격으로 25명의 힌두교 관광객과 가이드 1명이 사망했습니다. 인도는 이 공격의 배후로 파키스탄이 지원하는 무장 단체를 지목했습니다.

 

2. 5월 7일 – 인도의 '신두르 작전' 개시

인도는 '신두르 작전(Operation Sindoor)'을 통해 파키스탄과 파키스탄이 실효 지배 중인 카슈미르 지역의 9곳을 미사일로 타격했습니다. 이 공격으로 최소 31명이 사망했으며, 인도는 이를 테러에 대한 보복이라고 주장했습니다.

 

3. 5월 9일 – 파키스탄 공군기지 공격

파키스탄은 누르 칸(Nur Khan), 무리드(Murid), 쇼르콧(Shorkot) 등 자국 내 공군기지 3곳이 인도의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 파키스탄군 대변인은 대부분의 미사일을 요격했으며, 공군 자산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4. 5월 10일 – '분니얀 울 마르수스' 작전 개시

파키스탄은 인도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분니얀 울 마르수스' 작전을 시작했습니다. 이 작전에서 파키스탄은 인도 비아스(Beas)의 브라모스 미사일 저장 시설, 파탄코트(Pathankot) 및 우담푸르(Udhampur) 공군기지 등을 타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파키스탄은 자국 영공을 전면 폐쇄했습니다.


🌐 국제 사회의 반응

🇮🇳 인도

인도는 파키스탄의 보복 공격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자국의 군사 시설과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파키스탄의 드론 공격을 요격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파키스탄

파키스탄은 인도의 공격을 '노골적인 침략 행위'로 규정하며, 자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위한 정당한 방어 조치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인도가 자국 내 테러를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 국제 사회

G7 국가들은 양국에 즉각적인 긴장 완화와 직접적인 대화를 촉구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비공개 긴급 회의를 소집하여 상황을 논의했습니다.

🇺🇸 미국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이런 상황은 유감스럽다. 양국이 오랜 기간 갈등을 이어온 것은 알고 있다. 빠르게 상황이 종료되기를 바란다."
  •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양국이 평화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기를 촉구한다."

🇺🇳 유엔

  •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대변인: "양국 모두 최대한의 자제를 보여야 한다. 세계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군사적 충돌을 감당할 수 없다." 

🇯🇵 일본

  •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4월 22일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테러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 이번 상황이 보복의 악순환으로 이어져 전면적인 군사 충돌로 확대되지 않기를 바란다."

🇨🇳 중국

  • 중국 외교부 대변인: "인도의 군사 작전은 유감스럽다. 양국이 자제를 유지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기를 촉구한다."

🇬🇧 영국

  • 데이비드 라미 외무장관: "현재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긴장은 심각한 우려 사항이다. 양국이 자제를 보여주고, 직접적인 대화를 통해 외교적인 해결책을 찾기를 촉구한다." 

🇷🇺 러시아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파할감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군사적 대립이 심화되고 있는 것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 양국이 자제를 통해 지역의 상황 악화를 방지하기를 바란다."

 

 


📝 결론 및 전망

이번 '분니얀 울 마르수스' 작전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오랜 갈등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줍니다. 양국 모두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로서, 이들의 군사적 충돌은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국제 사회의 중재와 양국 간의 직접적인 대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입니다.


📚 참고 자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