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y StorY ◆/□ 취미 이야기

약초의 종류(무협)

Editor.zuke 2005. 9. 6. 14:30
반응형
SMALL

영지 [靈芝] 

불로초라고도 한다. 여름에 활엽수 뿌리에서 발생하여 땅 위에도 돋는다. 갓과 자루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1년생 버섯이다. 갓은 반원형·신장형 또는 부채 모양이며 표면이 편평하고 동심형의 환구(環溝)가 있다. 처음에는 난황백색이나 황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변하고 노성하면 밤갈색으로 된다. 살은 코르크질이며, 상하 2층으로 상층은 거의 백색이고 관공(管孔)부분의 하층은 연주황색이다.

갓의 밑면은 황백색이며 길이 5 ~10mm의 관공이 1층으로 늘어서 있고 공구(孔口)는 둥글다. 자루는 3~15×1~2cm이고 적갈색에서 흑갈색이며 단단한 각피로 싸여 있고 약간 굴곡한다. 포자는 2중막이며 포자무늬는 담갈색이다. 한방에서는 강장·진해·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심장병·고혈압·각종 암종에 사용한다. 이 버섯은 갓자루가 단단한 각피로 싸여 있고 니스를 칠한 것 같은 광택이 있어 일본에서는 만년버섯, 중국에서는 영지라고 하여 한약재료로 귀하게 사용하고 장식용으로도 이용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우황청심원 [牛黃淸心元]

중풍으로 졸도하여 사람과 사물을 식별하지 못하고 가래가 끓으며, 말이 고르지 못해 중얼거리듯 하고 입과 눈이 돌아가고 팔 ·다리 ·손 ·발이 자유롭지 못하는 등의 구급시에 쓴다. 신경성 심계항진증(心悸亢進症), 정신불안정, 어린이 경풍, 뇌졸중의 후유증 등에도 쓰인다.

처방은 산약(山藥) 28g, 감초 20g, 인삼 ·포황(蒲黃) ·신곡(神曲) 각 10g, 서각(犀角) 8g, 대두황권초(大豆黃卷炒) ·관계(官桂) ·아교(阿膠) 각 6.8g, 백작약(白芍藥) ·맥문동(麥門冬) ·황금(黃芩) ·당귀(當歸) ·방풍(防風) ·주사(朱砂) ·백출(白朮) 각 6g, 시호(柴胡) ·길경(桔梗) ·행인(杏仁) ·백복령(白茯) ·천궁(川芎) 각 5g, 우황(牛黃) 5g, 영양각(羚羊角) ·사향(麝香) ·용뇌(龍腦) 각 4g, 석웅황(石雄黃) 3.2g, 백렴(白) ·건강(乾薑) 각 3g, 대추 20알을 써서 4g씩의 환약을 만들어 이를 금박으로 싸두었다가 한번에 1환(丸)씩 따뜻한 물로 복용하면 좋다.

 

웅담 [熊膽] 

담낭을 반 정도 말려 이것을 두 장의 판자 사이에 끼워 압축시키면서 바람에 말린 것을 말한다. 부정형의 덩어리로서 황갈색 혹은 흑갈색이며 반투명이고 여물며 맛은 매우 쓰다. 성분은 담즙산(bile acid) ·티우로콜산(酸) ·글리코골산(酸)이고, 담즙분비촉진제 ·흥분제 ·진경진통제(鎭痙鎭痛劑)로서 급성질환 ·소아병에 쓰인다. 기응환(奇應丸)은 인삼 ·침향(沈香) ·사향 ·웅담 ·금박(金箔)을 함유하는 환제(丸劑)이며, 식상 ·복통 ·오심(惡心) ·구토 ·소아병에 쓰인다. 한방에서는 돼지의 담낭을 말린 저담(猪膽)을 마찬가지로 쓰며, 서양에서는 소의 담낭을 말린 우담(牛膽)을 쓴다.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여러 가지 만성병이나 큰 병을 앓은 뒤 전신쇠약이 심하고, 기혈(氣血) ·음양 ·표리(表裏) ·내외(內外)가 모두 허해져 있을 때 이를 크게 보(補)하며, 십전(十全:열 가지 모두)의 효험이 있다는 뜻으로 십전대보탕이라 하였다. 또한 병후의 시력감퇴에도 응용된다. 처방은 인삼 ·백출(白朮) ·백복령(白茯岺) ·감초 ·숙지황(熟地黃) ·백작약 ·천궁(川芎) ·당귀(當歸) 각 4.5g, 황기(黃) ·육계(肉桂) 각 3.75g, 대추 2개, 생강 3쪽을 달여 마신다.


주과

초본과 관목(灌木)이고 전세계에 분포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의 물가, 아르헨티나의 팜파스, 미국의 알칼리 평야, 카스피해와 홍해 연안의 중부, 아시아의 높은 지대, 남아프리카의 카루와 같은 사막과 염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102속(屬) 1,400종(種)으로 구성되고, 한국에는 5속 82종이 있다.

잎은 홑잎이고 보통 어긋나며 때때로 육질화(肉質化)한 것과 비늘같이 퇴화한 것도 있다. 잎겨드랑이에 밀산화서로 달린다. 꽃은 단성·양성 또는 잡성(雜性)이고 1가화(一家花) 또는 2가화이다. 꽃잎이 없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열매에 남는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상위씨방은 1실이며, 1개의 밑씨가 들어 있다. 열매는 견과이며 작은 주머니에 싸인다.


하수오[何首烏] 

중국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가꾸고 있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벋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같이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길게 벋어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원통 모양으로 짧다. 잎자루 밑부분에는 짧은 잎집이 있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어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2가화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처음에는 짧지만 꽃이 피면 좀더 길어진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8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고 꽃받침으로 싸이며 3개의 날개가 있다.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하며 강장제·강정제·완하제로 사용한다. 잎은 나물로 하며 생잎을 곪은 데 붙여서 고름을 흡수시킨다. 이와 비슷한 것에는 나도하수오(P. cilinervis)가 있으며, 지리산 능선과 계방산 계곡에서 자란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