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zuke
2004. 8. 20. 23:57
국민 75% "게임 즐긴다" |
 |  |
출처 | 문화일보(8/19) | |
 |  |
| |
(::10대는 95%이상 이용, '매일 1~2시간' 가장 많아::) 국민 4명중 3명이 게임을 한 적이 있으며 특히 10대의 경우 거의 대다수가 게임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문화관광부산하 한국게임산업개발원이 지난 3월부터 2개월 간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게임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설문 응답자중 75.3%(1129명)가 게임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 연령별 게임이용 비율을 보면 9~14세가 95.3%로 가장 높았고 15~ 19세 역시 95.2%에 달해 10대 대부분이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나 타났다. 20대도 10대보다는 이용율이 다소 떨어지지만 20~24세 8 7.3%, 25~29세 82.2%로 80%를 훨씬 웃돌았다. 그러나 게임이용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계속 떨어져 45~49 세의 경우 37.3%에 불과했다. 하루 평균 게임이용 시간 항목에서는 ‘1~2시간’이 32.9%로 가 장 높았고 ‘30분~1시간’(28.6%), ‘2~3시간’(19.5%)이 그 뒤 를 이었다. 그러나 하루에 3시간 이상 게임에 몰입하는 ‘중독성 게임광’도 9.6%나 됐다. 성별 비율을 보면 예상대로 남성이 83.9%로 65.9%에 그친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게임산업개발원 김용관 산업진흥본부장은 “그동안 게임소외계층 으로 분류됐던 여성이나 30?40대의 게임이용 비율이 최근 급격 히 높아지면서 전체 게임이용 인구가 점점 늘고 있는 추세”라며 “일부 청소년중 게임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빠져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 예술을 이용한 게임중독치료, 게임중독클리닉 센터 등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유회경기자 yoology@munhwa.co.kr |
|
--------------------------------------------
- zuke
이러한 기사들이 게임 기획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즉, 예를 들어, 연령층은 10대를주력으로하고, 20대까지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타겟층을 잡고,
1-2시간동안 플레이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물론 이렇게 기획하는 것이 좋다, 훌륭하다는 것이 아니다.
단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