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urnal - zuke가 바라보는 세상.
실제폰에 데스크 탑에서 짠 BREW 프로그램 올리기 본문
실제폰에 데스크 탑에서 짠 BREW 프로그램 올리기
작성자 : 모바일 자바 Community 운영자 권기경
출저 : http://blog.empas.com/i5on9i/1757335
1. Arm 컴파일러를 구한다.
A. 상용 Arm compiler를 산다. - 정품($1,500)
i. 구입시 KTF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구입
ii. 상용 서비스 시점에서는 반듯이 정품을 구입해야함.
B. Arm compiler trial 버전을 구입
i. http://www.arm.com/aboutarm/ARM_Korea?OpenDocument
ii. ARM Compiler의 버전은 반드시 1.0.1 이거나 1.1인 경우에는 build number가 717 이상
2. Arm 컴파일러를 적당한 자신의 디렉토리에 설치 한다.
A. Arm compiler trial 버전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시스템 시간을 돌리면 사용가능
3. 데스크 탑에서 생성한 파일을 Arm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컴파일 하기 위해 준비
A. 컴파일시 필요한 것
i. nmake.exe 파일
1. \Microsoft Visual Studio\VC98\Bin\ 아래에 보면 있습니다.
2. 이 파일을 PATH에 추가 or 절대 경로 사용
ii. mak 파일
1. Makefile의 Sample은 BREW SDK를 설치시 생성된 Examples\에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make 파일이 함께 들어있습니다(만일 application이름이 ishellusage라면 ishellusage.mak라는 이름의 파일이 makefile입니다.). 이중 하나를 제작하신 어플리케이션 소스가 있는 디렉토리로 복사
2. 예를 들어 Brew SDK를 “C:\Program Files\Brew” 에 설치하셨고 ARM Compiler를 “C:\ads” 에 설치하셨다면 make 파일에서 수정해 주셔야 할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컴파일 중 정상적인 경로를 써주었는데도 경로와 관련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설치경로에 빈칸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A. 일단 브루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이 고치시고
B. AEE_DIR = c:\progra~1\brew
C. SUPPORT_DIR = c:\progra~1\brew\src
D. SUPPORT_INCDIR = c:\progra~1\brew\inc
E. Arm compiler 디렉토리는 다음과 같이 고칩니다.
F. ARMBIN = c:\ads\bin # ARM ADS application directory
G. ARMINC = c:\ads\include # ARM ADS include file directory
H. ARMLIB = c:\ads\lib # ARM ADS library directory
I. TARGET = 에는 생성된 mod 파일의 이름을 적어주시고
J. MAKE_TARGET = 에는 지금 수정하고 있는 make 파일의 이름을 적어주시면 됩니다(.mak 빼고)
K. 마지막으로 APP_OBJS = 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곳에 제작하신 소스들이 이름을 확장자를 .o로 바꿔서 모두 써 넣으시면 됩니다.
4. 데스크 탑에서 생성한 파일을 Arm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컴파일
A. 위에서 생성한 mak파일을 이용 도스창에서 아래의 명령 수행
i. nmake.exe /f ***.mak
ii. 결과물로 ***.mod파일이 같은 폴더에 생성
5. 폰에 올리기 위해 필요한 파일
A. mod
i. 위의 Arm 컴파일을 이용해 생성된 파일
B. sig
i. KTF에 신청 , 각 폰마다의 인증서
C. bar
i. 리소스 파일 확장자.
D. Mif
i. ClassID 파일 , KTF 신청
E. 이상의 4개 파일이 필요하며 이상의 4개 파일을 모두 같은 이름(이름은 소문자로) 변환
F. 같은 폴더에 넣어 둔다.
6. 폰에 테스트를 위한 위의 4개 프로그램을 올리기 위한 프로그램 설치
A. 폰에 올리는 프로그램의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은 아래의 2 종류가 있다.
i. Apploader
1.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2. http://www.mobilebrew.net/pds/down.php?bid=20 다운 로드 가능
ii. QPST EFS Explorer
1. 멀티팩 이외의 폴더까지 볼수 있음
2. 멀티팩의 하위 폴더의 파일을 삭제 할수 있으므로 사용을 제한 하고 있음
3.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
7. 폰과 PC를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설치
A. 대리점에 가면 약 3만원 ?4 만원 정도에 살수 있다.
B. USB, Serial 두 종류
8. 데스크탑 설정
A. 데스크 탑의 제어판 -> 시스템 -> 하드웨어 -> 장치 관리자 -> 포트 -> USB Serial Port -> 포트 설정-> 고급 -> Com port 번호 (
i. 이곳의 포트 번호를 기억 해 둘 것
ii. 포트가 연결 되지 않을 경우 이곳의 포트 번호를 변화 시키면서 Test
B. 데스크 탑의 제어판 -> 시스템 -> 하드웨어 -> 장치 관리자 -> 포트 -> USB Serial Port -> 포트 설정-> 비트/초
i. 이 곳의 속도를 115200으로 설정
9. 테스트를 위한 핸드폰 설정
A. 삼성폰
i. Buad Rate 설정 : 위쪽 화살표(Magic N 위의 키) -> 0 -> 9720 -> 2 SIO -> DS Baud와 Diag Baud -> 115,220
ii. DM 모드 설정 : 위쪽 화살표(Magic N 위의 키) -> 0 -> 9720 -> 2 SIO -> 1 Port Map -> DM
iii. 4200, 4900일 경우 : 위쪽 화살표(Magic N 위의 키) -> 0 -> 9720 -> 9 Brew Menu-> 5 BREW DIF 설정 -> ON 설정
B. LG폰
i. Buad Rate 설정 : 메뉴 -> 0 -> 000000 -> 오른쪽 화살표 -> 4 Data Buad -> AUTOBAUD
ii. DM 모드 설정 : 메뉴 -> 0 -> 000000 -> 0 SerialPort선택 -> 2 DM모드
10. Apploader 실행
A. 포트 설정 ( 위에서 기억해둔 포트 번호를 설정 ? 일반적으로 3을 사용) B. i. 접속이 안될경우 ? 포트를 변화 시켜 보시기 바랍니다. C. 위에서 준비한 4개(sig, mif, mod, bar)의 파일을 핸드폰으로 저장하기 i. Module를 선택한다. |
ii. iii. 예를 들면 4개의 파일이 c:\ project\에 있다면 이 것을 그리고 sig 파일의 이름이 project라면 project를 두번째에.. |
이상 실제폰에 데스크 탑에서 짠 프로그램 올리기 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브루 개발을 하다 보니 KVM 과는 달리 많은 설정이 필요하고 통신사와의 접촉이 필요하군요. 혹 저 처럼 어려움을 가진 분들이 더욱 손쉽게 접근 하기를 바라며 이렇게 문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